Post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란?
최근에는 사이버네틱스라는 개념에서 파생된 다른 개념들(사이보그, 사이버펑크, 사이버스페이스)을 먼저 접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사이버네틱스라면 왠지 SF에나 나올법한 느낌을 받기 쉽습니다. 그러나 영문명 끝에 "s"가 붙는 Physics, Biologies, Politics, Economics 같은 다른 명사들처럼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또한 엄연한 학문을 지칭하는 단어입니다. 사실 인공두뇌학(人工頭腦學)이라고 하는 번역 명칭을 쓰는 편이, 이 개념에 접근하는 올바른 방법을 훨씬 쉽게 알려주죠.
사이버네틱스에 대한 엄밀한 정의는 없지만, 기계의 자동제어나 동물의 신경계 기능의 유의성 및 관련성을 학제적으로 연구하는 심리학・생물학・물리학・수학 등을 포괄하는 종합 과학의 통칭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수학자인 노버트 위너(Norbert Wiener)가 1948년에 간행된 자신의 저서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Or Control and Communication in the Animal and the Machine)에서 제창한 것이 그 시작이었습니다. 그 책의 부제에서 알 수 있듯 생물 개체의 행동과 통신기계 사이의 유사성을 제어・통신・정보 전달 구조의 관점에서 연구하고자했던 과학이론이었습니다.
먼저 사이버네틱스라는 단어는 그리스어로 조종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κυβερνάω"에서 유래하였습니다. 기본적으로 조종을 하는 기능에 과학적으로 주목하고, 소정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출력측의 정보를 입력측에 되돌리는 피드백(Feedback)이라는 방법을 통해, 대상을 확실하게 제어하는 이론의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었습니다. 예를 들면 시각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대상에 대한 정보를, 동력원인 모터 제어로 피드백시킴으로서 움직임을 보다 확실하게 제어하는 방식을 추구하는 이론이었습니다.
그러데 흥미로운 점은 기계뿐만 아니라, 생물이나 사회에 있어서도 정보의 교환이나 컨트롤 방식 등에 유의성이 존재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 말은 이러한 제어 방식이 생명, 기계 뿐만 아니라 사회를 시작으로 하는 시스템적인 활동을 인식하는 현상 전반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했으며, 이 때문에 수학이나 심리학・생물학・공학 등의 과학분야 뿐만 아니라, 경제학・심리학・사회학 등의 분야들도 이 사이버네틱스 이론의 각자 자신들의 분야에 접목시키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이것이 위너의 사이버네틱스가 오늘날의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가장 큰 의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의 영향
사이버네틱스 이론에서, 인간의 몸은 자동기계처럼 간주되고 자동제어 이론이 적용됩니다. 약간 으스스하게 들릴지는 몰라도, 이를 통해 인간은 뇌의 움직임을 보다 객관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 되었고 오늘날의 정보과학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자기술의 발전과정에서 등장한 컴퓨터 기술에, 이 사이버네틱스 이론이 응용되면서 오늘날의 각종 정보시스템이나 로봇 기술 등의 실용화에도 크게 공헌하였습니다. 또 공학이나 생물학 등 다른 영역에서도 또한 메커니즘을 융합시키는 시도가 나타난 결과, 생명과 기계의 융합인 사이보그(Cyborg)나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정보공간인 사이버스페이스(Cyberspace) 같은 새로운 개념들을 낳았습니다.
사이버네틱스의 관점을 인간 사회의 분석에 가장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분야는, 의외로 경제 · 경영연구였습니다. 경제학자들은 국민경제나 기업의 의사결정 메커니즘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경제 사이버네틱스를 발달시켰습니다. 특히 사회주의 시대의 구소련 및 동유럽 국가들이 계획 경제의 최적화를 달성하기 위해, 사이버네틱스적인 관점에서 사회 경제적 의사 결정 구조를 분석했습니다. 당시 작은 정부를 지향하던 자유진영 역시, 기업의 관리 및 조직을 정보전달 및 제어라는 관점에서 파악하기 위해 경영 사이버네틱스를 발전시켰습니다.
'EXㅣGM상식ㅣ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보그(Cyborg)와 안드로이드(Android)의 차이는? (0) | 2020.10.05 |
---|---|
사이버스페이스(Cyberspace)란? (0) | 2020.10.04 |
네뷸라상(Nebular Award)의 특징은? (0) | 2020.10.03 |
SF계의 노벨문학상, 휴고상(Hugo Award) (0) | 2020.10.03 |
스팀펑크(Steampunk)의 특징 (0) | 2020.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