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반응형

 

 사이보그(Cyborg)란?

사이보그(Cyborg)란 Cybernetic Organism의 약칭으로, 신체의 각 기관을 인공물로 대체한 사람을 말합니다. 넓은 의미로는 자동제어계 기술(Cybernetic)과 생명체(Organism)을 융합한 것을 지칭하며, 현실에서도 임플란트나 콘텍트 렌즈, 인공심장, 티타늄 골격 등 신체의 기능을 전자기기나 인공물로 대체하거나 사용하는 인간도 사이보그의 범주에 들어갑니다. 그러나 현실에서 볼 수 있는 수준의 사이보그는, 사실 보통 사람들에게 있어서 사이보그라고 인식되지는 않습니다. 픽션 작품에서 접하는 사이보그의 이미지와, 학술적인 정의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픽션 작품에서 묘사되는 사이보그는 주로, 뭔가 특수한 시술에 의해 보통 인간을 훨씬 능가하는 힘을 지니게 된 캐릭터로 그려집니다. 이런 작품들의 대중적인 파급효과가 매우 컸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사이보그에 대한 이미지는 신체의 대부분을 기계화하고 있는 기계인간에 가깝습니다. 다만 최근에는 의족・인공장기 등에 의료분야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상당한 진척을 보이고 있으며, 픽션 작품에 나타나는 사이보그의 이미지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사이보그(Cyborg)와 안드로이드(Android)의 차이는?

가끔 혼란을 불러일으킬 때가 있기는 하지만, 이 두 개념은 완전히 다릅니다. 사이보그는 겉보기는 기계같아 보일지 몰라도 그 본질은 인간입니다. 개조에 개조를 거듭하여 원래 몸이 차지하던 부위가 극단적으로 줄어들게 되어도, 인간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이루는 뇌가 기계로 대체되지 않는 이상, 그 본질은 인간입니다.

반면 안드로이드는 완전한 인공물이자, 그저 인간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로봇이며, 보다 엄밀히 말하자면 남성 인형로봇을 안드로이드(Android)여성 인형로봇을 따로 가이노이드(Gynoid)라고 지칭합니다. 다만 20세기경의 영화에서는 고증부족이나 영업적인 측면에서 안드로이드에 대해 사이보그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는 등, 여러 오용을 저지른 경우가 있었고, 이 때문에 일반인들에게 많은 혼란을 야기시켰습니다. 하지만 사이보그는 "생물의 기계화"인 반면, 안드로이드는 어디까지나 "로봇의 인형화(人形化)" 이라는 명백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반응형
▲ top